본문 바로가기

AWS 교육/Server (화)

241224_VMware, Rocky, Ubuntu, CentOS

728x90

김덕현 강사님으로 강사님 교체

복습의 중요성을 소화에 걸리는 시간을 예로 설명해주심

오늘 제외 시간 부족으로 압축 강의 예정 및 모의해킹

 

AI 텍스트기반 chatgpt / 다이아로그 기반 디비전

보안 = 돈

 

나태해지지 않고 공부를 해야함의 중요성 

하나를 봐도 왜? 라는 의문을 생각하여 이유를 찾아서 공부해야한다

한정된 자원에서 최대한 효율적인 배분요소 = 프로그램

 

요즘 추세 > C언어를 파이썬으로 리코딩하는 경우 많아짐

 

서브넷 마스크와 IP : 네트워킹 ─> 상대방과 나의 기준이 일치해야 서로 통신이 가능

 

각각의 ubuntu.com과 centos.org, rockylinux.org에서 22.04 LTS와 8버전,9버전을 다운

그리고 자주 쓰는 폴더 안에 vmos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세가지 OS의 폴더 제작

 

이제 VMware를 킨 후

 - Ubuntu 22.04 설치

custom  >  Next  >  Next  >  Linux : Ubuntu 64-bit  >  u22d : 폴더 내 Ubuntu 폴더 선택  >  proccesser : 2  >  4GB  >  NAT  

>  next  >  next  >  next  >  next  >  20gb : multiple  >  우분투폴더로 디스크파일 설치  > hardware : 우분투파일 등록

 

Try or Install Ubuntu  >  한국어 : Ubuntu 설치  >  Korean  >  지금설치  >  계속하기  >  Seoul  >  일반계정 : user1 / 1

 

 - Rocky9

New Vitual  >  next  >  next  >  Linux : Rockylinux64  >  (name)rockylinux9 : 만든 폴더 중 로키 폴더 선택  >  next  >  next  >  next  >  next  >  next  >  next  >  로키폴더 선택  >  next  >  Hardware에서 CD/DVD에서 iso 파일 등록

 

한국어  >  설치목적지 : 완료 , root : 1/1 , 네트워크및호스트이름 : rockylinux9 로 호스트이름 적용  >  

 

 이제 설치된 우분투에서 ifconfig는 되지 않기 때문에 먼저 net-tools를 설치하여 준 후 update를 하고 확인하여 본다

  ($ sudo su - root 로 root 계정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내용들을 윈도우로 보려면 powershell 명령어를 통해 확인하며

이 사용자 계정을 GPI로 볼려면 Windows + R에서 lusrmgr.msc로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제 Virtual Network Editor로 접속하여 Change Settings 클릭 후 VMnet8 의 ip대역을 1. 대역으로 하고 

 DHCP Settings을 보면 128~로 되어 있는 것은 기본세팅이며, 초반대역은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

 

root 계정에서 passwd 명령어로 1을 비번으로 설정한 후 root계정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기 위해 파일을 수정

  ㄴ3번째 줄에 주석처리

하게되면 root 계정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후 root계정으로 접속하여 ssh(openssh-server)를 설치(우분투는 apt)하여 ssh 기능을 준비하여 준다

 그 후 /etc/ssh/sshd_config의 내용 중 33번째 줄의 내용을 복사 붙여넣기 한 후 #을 없애고 뒤의 내용을 yes로 바꿔준다

이렇게 수정 후 ssh를 restart 해주면 putty 등으로 접속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9_Editor(gedit,nano,vi).pdf
2.23MB

vi 편집기

 :%s/[old]/[new]/g   ━>  [old]의 내용을 [new]로 전체(%) 다(g) 변경하라

vi_test.txt
0.00MB

 

vi 편집기에서 편집하는 내용을 다 한번씩 해보고 편집해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