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 교육/Server (화)

241203_DNS 서버 위임, 복제, 포워딩

728x90

◈ DNS Server

◆ 위임

먼저 EVE_NG를 킨후

 

※DNS서버에서 서브도메인 관리방법

 1. 자신의 DNS서버에서 생성

 2. 위임 : 다른 DNS 서버에 위임 (x.com  /  xx위임 ─────> xx.x.com)

  이 DNS서버 위임을 하기 위해서 먼저 라우터를 설정해주어야 한다

  이렇게 라우터의 IP와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해준 후

  DNS를 설정해주어야 하는데 먼저 서버가 설치되어야 하기에 3개의 DNS서버를 동시에 진행하자면

  ㄴ해당 명령어로 DNS 서버를 설치한 후

  네임서버.conf를 수정해주는 데 사진의 윗부분의 IPv4의 53번 port는 각자의 본인의 IP로 설정해준다

  그 후 기본 rfc존의 내용에 각각의 존파일을 연결 등록 해주고

  ㄴ /var/named 디렉토리로 가서 domain.zone을 복사하여 각자의 존파일을 생성한 후

  ㄴ해당 파일의 내용을 수정

  마지막으로 해당 파일의 권한을 수정한 후 restart하면 완료!

  이제 윈도우 서버의 IP를 수정한 후

  nslookup으로 확인하면 정상적으로 확인 되는 것을 볼 수 있다(ping으로도 확인되나 연결은 되지 않음)

 

. DNS 서버.pdf
0.48MB

 

◆ 종속

  이번에는 메인 dns서버의 존 내용이 복사되어 서브 dns서버로 전송되는 형식으로 따로 서브 dns서버는 입력할 필요가 없게되는 형태이다

  먼저 두 dns서버의 IP를 지정해준 후   (# vim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bind, caching-nameserver를 인스톨하고 pdf파일의 12번 문단으로 진행한다

  먼저 네임서버.conf를 수정해주는 부분까지는 동일하게 진행하나

  rfc*.zones의 내용에서 차이가 발생하며 master와 slave의 DNS서버에 차이를 준다

  이후 존 파일을 master DNS서버에만 만들어 주며

  각각 존 파일의 내용을 등록하고

  두 DNS 서버 전부 restart해준다

 

  정상적으로 완료 되었다면 slave DNS 서버의 /var/named 디렉토리에 slaves 디렉토리가 생성되며,

  존파일이 등록된 것을 볼 수 있다

 

 ★재부팅하기 귀찮거나 이전 파일을 남기고 싶을 때

  완료한 후 모든 프로그램을 stop을 하고 난 후 왼쪽에 close lab을 하고 new lab으로 새롭게 생성(영어로 생성)

 

1. Master DNS Server  :  주 DNS 서버

2. Slave DNS Server  :  백업 DNS 서버

3. Cache only DNS Server  :  캐싱 기능만 있는 DNS 서버

4. Forwarding DNS Server  :  포워딩 기능만 있는 DNS 서버

 

◆ Local DNS 서버

  메인 DNS 서버는 10.2이나 존은 10.3에 있는 형식

  먼저 각 리눅스에 IP를 등록해 준 후

  C5B와 C5C에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여 DNS 서버의 기능을 킨 후

  C5B의 네임서버.conf 에 윗 사진의 내용처럼 입력한 후

  C5C에서는 기본 DNS서버 제작하듯 만들어 준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