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NS Server
먼저 EVE_ng를 실행
외부에서도 질의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전역설정에 넣어준다
ㄴdns 설정에서 udp 53번 포트가 열려 있어야 한다
모두가 질의할 수 있도록 allow-query에서 any 등으로 설정
서비스할 이름을 넣어준다 (naver.com / x.com 등 이름을 zone라고 함)
ㄴ기본 타입은 마스터이며, 해당 이름으로 질의 시 찾아볼 파일을 지정가능(보통은 이름.zone으로 설정하나 자유임)
정방향 => 도메인이름 질의 시 IP 제공 (.zone 로 많이 제공)
역방향 => IP로 질의 시 도메인 이름 제공 (.rev로 많이 제공)
존파일 생성 시 기존의 localdomain.zone(DNS서버 다운 시 생성됨)을 복사하여 이름 바꿔서 만드는 게 편함
호스트 이름과 컴퓨터 이름은 아무 관계가 없다
정방향은 A 레코드를 사용하며 앞에 호스트이름이 입력되고 뒤에 IP가 입력된다
역방향은 PTR 레코드를 사용하며 앞에 IP가 입력되고 뒤에 호스트이름이 입력된다
★라우터 4개 / 센토스5 3개(1024) / 윈도우서버 2008 1개(2048) 로 생성
먼저 L5A에서 R2와 이어진 연결을 끊고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 yum -y install bind caching-nameserver 을 하여 다운로드를 한 후
# vim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에서 IP와 게이트웨이를 설정하고 종료하여
다시 L5A와 R2를 연결
이후 라우터 4대와 다른 센트OS 2대와 윈도우서버의 IP를 설정
이제 DNS 서버 준비
여기서 내용은 먼저 named.caching-nameserver.conf
다음 파일인 named.rfc1912.zones
다음은 존파일 (왼쪽 x, 오른쪽 y)
이렇게 완료한 후 연결상태(ping) 한번더 확인하고
http 서버 실행
네트워크는 IP와 게이트웨이만 변경하여 수정하면
정상적으로 윈도우서버에서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서브 도메인
x.com : zone(존) = 이름 영역
서브도메인인 하위 xx 와 xxx를 만들 수 있다
ex) ping www.x.com / ping www.xx.x.com / ping www.xxx.xx.x.com
폴더 구조와 비슷하다고 보면된다
FQDN = 전체이름 (host 이름+도메인 이름)
CNAME = 별칭 (여러개를 제작가능)
서브도메인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여러가지가 있는데
먼저 한 DNS서버에서 전체 관리하는 방법으로
x.com.zone에 내용 그대로 입력하는 방법과
ㄴ 가장 간단한 방법인 부모(x.com)의 존 파일에 자식(secretary.x.com)의 호스트 정보를 갖게 하는 것
$ORIGIN을 활용하여 x.com처럼 간단한 구조처럼 변경하여 입력하는 방법과
ㄴ $ORIGIN에서 기점명을 변경하면 다시 $ORIGIN에 기점명을 다시 정의하지 않는 이상 행의 끝까지 지정한 기점명이 유효해 지는 것
아예 파일은 외부로 돌려서 include로 외부의 파일을 가져오는 방법이 있다
ㄴ $INCLUDE 스테이트먼트를 이용함으로써 서브 도메인 "secretary.x.com."의 정보를 별도 파일로 분리하여 부모의 존 파일에 삽입시킬 수 있다
ㄴ 서브 도메인의 존 파일은 x.com.zone과 같은 디렉토리(/var/named/)에 보존하고 기술내용은 [$ORIGIN을 사용한 서브 도메인의 설정]과 동일하게 설정한다
2번째 방법으로는 DNS서버를 분리하는 방법인데
각각의 x.com.과 xx.x.com. , xxx.xx.x.com. 을 각각 다른 DNS서버에 위임하여 관리하는 방법이다
첫번째 방법에서는 x.com에서 전부 관리했으나 dns서버를 위임하여 xx.x.com을 물어보면
x.com이 있는 dns서버에서 xx.x.com이 있는 dns서버로 물어보고 답을 주는 형식이다
ㄴ여기서 @는 도메인이름 즉 x.com을 의미
ㄴ ns.x.com은 도메인주소이며, root.x.com은 서버메인 메일주소이다
ㄴ xx.x.com. 에 대한 질의가 오면 1.1.1.2로 보낼 수 있도록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 DNS 서버 위임
여기서 존파일 전까지의 내용은 위와 동일하게 진행하다가
존파일의 내용만 다르게 입력하고
권한 수정 후 재시작하면 완료
완료 후 ping이나 nslookup을 통해서 도메인이 제대로 적용되었는 지 확인 가능하다.
'AWS 교육 > Server (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1210_DNS, DHCP 서버(이전내용 복습), DNS 서버(PTR) (0) | 2024.12.10 |
---|---|
241203_DNS 서버 위임, 복제, 포워딩 (0) | 2024.12.03 |
241119_DHCP 서버(CentOS 5, Locky 9, Ubuntu 22.04), DNS 서버 (0) | 2024.11.19 |
241112_EVE-NG DHCP - 예약, Multi Scope, Relay Agent (0) | 2024.11.12 |
241105_EVE-NG, 기본셋팅(CentOS, Rocky, ubuntu), DHCP-Server (0) | 2024.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