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 교육/Server (화)

250121_Mount, DNS, HTTP

728x90

 외부에서 들고다니면서 쓸수 있도록 만든 CentOS8, Rocky9, Ubuntu22.04 파일이 있으며,

 해당 파일 중 CentOS8만 먼저 작동을 켜준 후

2025_1_21_Tue_1_mount.txt
0.01MB

 

 # ls -l /dev 를 통해 디스크가 어떤게 있는 지와 내용을 한번 읽어 본 후 디스크의 내용을 확인하여 주고

  # fdisk /dev/nvme0n2 라는 명령어를 통해서 해당 디스크의 내용을 확인 및 수정할 수 있다

  ㄴ d로 삭제, n으로 파티션 나눔

 그후 만든 디스크를 가져와서 포맷을 한다

  ㄴ 1~5번 전부 포맷할건 데 4번은 그릇이기에 포맷해서는 안되며, 되면 안된다

 

 그러고 이젠 mount를 해볼건데 /export 디렉토리 안에 p1~5라는 디렉토리를 생성한 후 연결짓는다

 이렇게 연결이 되면 p1디렉토리 안에 디렉토리가 하나 생성되는 데 디스크 기능이 있는 디렉토리에 기본 설치되는 것이기에 mount 해제 시 해당 디렉토리도 사라진다

  ㄴumount는 해당 디렉토리 밖에서 실행하여야 함

 만약 해당 p1 디렉토리 안에 파일이 있는데 mount를 하면 원래 있던 파일이 없어지고(숨겨짐) 다시 해제해야 나타난다

  ㄴ즉, 스왑되는 형식(1 <━━mount━━> 2)

MobaXterm_CentOS_8_20250121_101914.txt
0.03MB

 

  모든 마운트는 컴퓨터 종료 시 전부 해제됨

  안날라간것같은 마운트들은 날라갔다가 부팅시에 읽어오는 형식

 

 부팅 시 읽어오는 파일은 /etc/mtab과 /etc/fstab 이 존재하며 mount의 경우 fstab의 파일의 내용이 중요

 root를 읽고 boot를 한 후 스왑처리를 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 내용 아랫칸에 mount 내용을 추가하여 주면 이후 재부팅해도 mount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잘못 수정 시 부팅이 안될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오타 등 발생 시 재부팅 시 에러 발생)

 그렇기 때문에 바로 확인하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확인을 필수적으로 해주어야 한다

 이후 2번도 동일하게 mount 설정을 한 후 확인하고 재부팅을 하면 정상접속 및 mount가 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제 u22d를 압축 풀어서 켜준 후 IP가 .10인지 확인 및 변경하여 주고

 nslookup과 ping을 통해 각각의 ip나 도메인을 확인한다

 여기서 /etc/hosts 파일을 건드릴 경우 원래 사용가능한 위치도 hosts를 먼저 확인하기에 접속이 되지 않는다

 이후 끝난 뒤 주석처리를 한 후 F5 즉 새로고침을 하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이 동일하게 윈도우에도 존재하며, 시스템파일이기에 확장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ㄴ서버 웹 접속 상 우선순위가 높기때문에 해당 파일에 설정값을 지정 시 먼저 인식하기에 주의 필요

 

 강사 즉 DNS 서버에서 www.kt.com을 물어본다고 하면 . (root) 힌트로 확인하여 질문한 후 com을 알아와서 com에게 질문하여 kt.com을 알아온 후 www를 알아내서 답을 하여 주는 데 이런 반복 작업을 interactive query라고 하며, cache로 저장한다 

 

 CentOS에서는 dns수정 시 resolv.conf 의 값도 변경이 되나 ubuntu는 따로 변경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렇기에 dns서버를 수정한 후 적용시켜보면 아직은 dns서버를 작동하지 않았기에 거절되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제 bind9이라는 서비스를 설치하여 주면 dns서버가 열린것을 볼 수 있다

 이후 bind의 conf 파일을 확인하여 본다

  ㄴ여기서 우리가 수정할 건 named.conf.default-zones 임을 내용을 보고 알 수 있다

 이제 zone을 등록하고 파일을 추가하여 준다

 파일을 그대로 설정했으나 데비안계열의 dns서버이기에 형식대로 파일의 이름을 수정하여 준다

 그 후 역존파일을 등록하여 준다

 이렇게 완료하고 restart하게 되면 nslookup을 통해 완료되었는 지 확인이 가능하여 진다

 

 이렇게 우분투에서 dns를 적용해보았으니 bind9을 삭제한 후 센트OS에서 dns1의 값을 본인으로 바꿔준다

 ★ubuntu는 resolv.conf를 따로 수정이 필요하나 centos는 네트워크만 적용해도 resolv.conf가 자동으로 바뀜

 두 서버 다 dns1을 .30으로 변경한 후 centos에 설치하여 준다

 ( ubuntu : dkfg / apt    ////  centos : rpm / yum )

 이후 cd에 centos.iso파일을 등록하고 /cdrom 디렉토리와 마운트 한후 내부파일 중 bind9를 실행하여 준다

 설치가 완료된 후 named.conf의 값을 수정하여 주고

 존설정파일로 가서 추가하여 준다

  ㄴ파일 카피 시 cp -p 를 통해 권한도 그대로 옮겨올 수 있다

 

                                                ㄴ관습 중 하나

 이렇게 완료하게 되면 nslookup 등으로 변경이 잘 이루어 졌는 지 확인도 가능하다

 이제 방화벽을 열면 해당 ip로 dns 질의가 가능해진다

 

◆DNS + Apache

 먼저 httpd를 설치하기 위해 정지된 사이트가 아닌 살아있는 사이트로 변경한 후 설치하고

  selinux를 종료하여 준 후 재부팅하여 적용시켜 준다

 그후 재부팅하였기에 named와 httpd를 시작하여 주고(enable로 자동적용 가능) 각각의 port를 열어준다

 이제 http 설정을 위해 conf를 열어서 설정을 수정하여 준다

 그후 기본파일의 위치를 알게되어 해당 위치에 index.html을 생성하여 만들어 준다

 그리고 기본 네트워크 설정파일(ifcfg-ens160)로 가서 수정하여 준 후 재시작하여 아랫사진과 같은 상태로 한다

 만들 때 index.html의 내용을 각각의 홈페이지 소스파일을 그대로 가져올 수도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