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버츄얼박스 : DNS서버, 윈도우 7, 웹 서버 킨 후 DNS를 원격접속하기
# systemctl status named
ㄴ서비스 동작 상태 확인 및 오류 메세지 확인 명령어
# firewall-cmd --list-all
ㄴ방화벽의 모든상태를 출력
ㄴ열린 포트의 상태 확인
☆윈도우 7 버츄얼 박스 확인
ㄴ Host-Only 네트워크의 ip도 .110으로 등록하며 dns주소는 동일
접속하면 가장 먼저 dns캐시를 확인하는 데 캐시가 남아있으면 원하는 결과 출력이 어려워 질 수 있기때문에
dns캐시와 웹캐시를 삭제
윈도우키 + R > 실행 > cmd > ipconfig /flushdns
ㄴ 현재 인터페이스 내용 확인
익스플로러 톱니바퀴 > 인터넷 옵션
> 검색기록 > 설정 > "웹 열때마다"로 변경
> 삭제 > 체크 전부 한 후 삭제
> nslookup
ㄴ dns서버에 물어볼 수 있는 명령어
ㄴ chat gpt와도 같은 대화형 문답
◆ 마스터 DNS 서버 구축
- 단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or 호스트를 IP로 겨주는 서버
- 특정 도메인에 대한 DNS 레코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
ㄴ 각자의 이니셜을 가지고 도메인 제작
◇ 정방향 Lookup
ㄴsb.com의 내용을 먼저 확인 후 없을 시에 .에 확인한다
ㄴ slaves는 마스터 dns에 대한내용이 저장된다
named 디렉토리 안에 sb.com.db를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named.empty를 복사하여 만들고 내용을 수정
ㄴTTL = dns캐시가 남아있는 기간 (즉, 3시간동안만 보관됨)
ㄴ@ = 도메인 이름(함부로 사용하면 안됨) > 사용할 도메인 이름으로 변경 ( @ > sb.com. )
ㄴIN = 인터넷
ㄴSOA = 권한의 시작(Start of Authority)
ㄴrname.invalid. = dns서버 관리자 메일주소 (웹은 @를 사용하나 서버에서는 특수하게 사용하기에 .으로 표기)
ㄴ 마지막 . 은 루트도메인
ㄴ만든일자 : serial // 새로고침 : refresh // 재시도 : retry // 만료 : expire // 최소시간(존 파일 TTL 값) : minimum
ㄴ마스터가 레코드를 수정하는 데 기간에 따라 새로고침을 하며, 실패 시 재시도하는 데 만료기간까지 하는 레코드를 의미하며, 기록 캐시를 최소한으로 보관하는 기간을 표기
ㄴA = IPv4 주소 // AAAA = IPv6 주소(사용하지 않기에 삭제됨)
ㄴA를 따로 지정한 경우 ns A ****가 추가되야 하며, A 앞에 IN 은 생략됨(써도 작동됨)
저장한 후 restart하여 적용하기
★restart가 되지 않을 경우 named.conf의 내용( ; 이 마지막에 잘 표기되어있는지와 file내용이랑 외부 파일명이 일치한지)확인 및 sb.com.db 내용 확인하기
적용되면 윈도우7에 접속하여 www.sb.com으로 접속
★접속이 되지 않을 경우
ㄴ/var/named의 내용을 확인할 경우 sb.com.db의 소유권한을 볼 수 있는데 root에서 등록 했기에 전부 root만 읽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ㄴ소유그룹을 named로 변경하여 읽을 수 있도록 수정 필요 ( chown [소유자].[소유그룹] [파일명/디렉토리] )
★그래도 되지 않을 경우 캐시삭제를 하고 시도해보기 ( cmd > ipconfig /flushdns )
※ 추가사항
- CNAME : 별칭
- MX : 메일서버 정의
- NS : 도메인서버 정의
- PTR : IP주소에 대응하는 도메인/호스트를 정의
ㄴ 원래 존 내부에 있었으나 외부로 옮김 : 지정된 경로에 있는 파일의 내용을 현재 설정 파일에 포함
즉, 존 마다 포함되어야 하는 내용을 일일히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수정시 바로 수정 가능
◇ 역방향 Lookup
ㄴin-addr-arpa : 역방향으로 인식 즉, 192.168.56.0/24로 인식
ㄴPTR 이라는 것은 역방향으로 인식하기에 이전과 반대로 등록되며 위에 56.*이기에 마지막 숫자만 입력후 도메인네임 작성
이렇게 완료 시 ip로 도메인네임을 알 수 있고 도메인 네임으로 ip를 확인 할 수 있다
★ 추가 가상서버 설치
먼저 DHCP 서버를 비활성화 한 후
1. 이름 : DHCP-Server (IP 3)
2. OS : CentOS7-2009, Minimal
3. 네트워크 어댑터 : NAT, Host-only(192.168.56.3)
로 가상 서버 제작
DHCP 서버를 추가 제작하는 이유
- 브로드캐스트 구성이 어디로 가는 지 확실하게 알 수 있음
- 현재 내가 있는 네트워크에서 다른 네트워크로 가기 위한 게이트웨이
- 브로드 캐스트를 할 수 밖에 없음
ㄴ패킷이 총 4단계
ㄴ디스커버 패킷 : 클라이언트가 접속해서 서버에게 보내서 서버 ip를 요청 (브로드캐스트로 요청)
오퍼 패킷 : 서버가 이 ip를 써라 라고 보내는 것
리퀘스트 패킷 : 클라이언트가 특정 ip를 써도 되는 지 재확인 하는 것
ack 패킷 : 사용해도 된다고 응답하는 것
/etc/yum.repos.d/CentOS-Base.repo 와 enp0s3, enp0s8을 수정한 후
# systemctl restart network.service
하여서 시스템을 재시작하면 yum이 정상 작동됨
# yum install -y vim net-tools dhcp // vim과 net-tools랑 dhcp 다운
이렇게 완료 한 후 실행했던 서버들을 종료하고 네트워크를 "연결하지 않음"으로 변경
GNS3로 접속하여 버츄얼박스 등록
3개의 서버가 정상 등록된 내용 확인
DHCP 서버를 더블클릭한 후 네트워크 어댑터를 2개로 설정
사진처럼 설정 해보기
R1에서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IP를 등록하고
DHCP서버에서 enp0s3에 등록된 ip를 변경 한 후 ping 테스트
# vim /etc/dhcp/dhcpd.conf // dhcp 설정파일
내용을 입력해준 후 dhcpd를 리스타트하여 적용한다
ㄴDHCP서버가 어떤네트워크에 있는지 알려주는 역할도 함
스테이터스를 확인하면 빨간색의 내용이 확인 되는 데
내용을 입력한 후 확인하면 사라진 걸 볼 수 있다
이제 스위치랑 dhcp서버 사이에 캡쳐로 패킷을 열어놓고
입력이 완료되면 이제 윈도우로 접속하여 자동으로 변경하면 ip가 등록된 것을 볼 수 있다
전송내역도 확인 가능
PC1과 연결된 부분을 ip helper로 등록
dhcp ip를 등록하면 PC1에서도 DHCP 적용이 가능해진다
# vim /var/lib/dhcpd/dhcpd.leases //
이제 R1에 SSH를 연결하고 DNS서버의 ip를 등록
윈도우에서 putty로 접속 여부 확인 및 dns서버 등록
◇ DHCP Relay 설정
- DHCP 서버가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할 때 Broadcast 패킷을 넘겨주는 역할을 함
- 라우터와 DHCP 서버가 서로 통신을 하며 받은 패킷을 네트워크 내로 보내줌
-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인터페이스에 설정
◇ 임대 시간
- IP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
- default : 기본 임대시간 // MAX : 최대 임대시간 // MIN : 최소 임대시간
ex) max-lease-time 시간(초); \\ default-lease-time 시간(초); \\ min-lease-time 시간(초);
◇ 임대 연장
1. Renewal Time (T1)
- 임대 시작의 50% 지난 시점에 요청
- DHCP 서버로 Request 패킷을 보냄(Unicast 통신)
2. Rebinding Time (T2)
- 임대시간의 7/8이 지난 시점에 요청
- DHCP Discover 패킷 전송 (Boradcast)
- T1을 받지 못하면 1시간마다 계속 요청하는 데 7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기존 dhcp가 죽었다라고 생각하고 남은 1시간동안 Discover 패킷을 보내어 새로운 서버를 찾는다.
◇ 특정 클라이언트에게 고정 IP주소 할당
host [이름] {
hardware ethernet [MAC 주소];
fixed-address [IP 주소];
{
'AWS 교육 > Server (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1112_EVE-NG DHCP - 예약, Multi Scope, Relay Agent (0) | 2024.11.12 |
---|---|
241105_EVE-NG, 기본셋팅(CentOS, Rocky, ubuntu), DHCP-Server (0) | 2024.11.05 |
241025_EVE-NG, 리눅스 복습 (0) | 2024.10.25 |
241022_VMware, Rocky9, EVE_NG 기본설치 (0) | 2024.10.22 |
241015_Web, DNS Server (0) | 2024.10.15 |